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벌레들의 습격이 시작됐습니다.<br> <br>기후변화의 부메랑이 벌레떼의 급속한 번식으로 되돌아왔습니다.<br><br>작은 곤충 한 마리가 차량 윤전자의 생명까지 위협할 정도가 됐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, 이솔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흑갈색 곤충 무리가 건물 외벽은 물론이고 길거리까지 까맣게 뒤덮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이거 진짜야? 말도 안 돼." <br><br>미국 네바다주에 출몰한 '몰몬 귀뚜라미'입니다. 보통 5, 6월 초여름에 등장하는데 지난해부터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났습니다.<br> <br>문제는 차도까지 진출해 교통 흐름을 방해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차들이 귀뚜라미를 밟아 으깨질 때마다 괴상한 소리가 나고 진물이 나와 도로를 미끄럽게 만듭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교통사고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자 현지 경찰 당국은 도로에 귀뚜라미 주의 표지판까지 세웠습니다.<br> <br>[예레미아 무어 / 네바다 주민] <br>"(귀뚜라미 떼가) 도로 위에서 으깨지면 거의 기름 같아요. 한번은 이 교차로에서 집으로 향하던 중에 미끄러져서 옆 도랑에 빠졌어요." <br><br>올림픽 개최 막바지 준비가 한창인 프랑스 파리는 '모기와의 전쟁'을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[케빈 메이그넌 / 파리 보건청 모기 감시팀] <br>"(양동이 물에) 모기 알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로 보낼 예정입니다." <br><br>주로 동남아에 서식하며 뎅기열과 지카바이러스를 옮기던 '아시아호랑이모기'가 최근 유럽에서 갑자기 급증한 겁니다.<br><br>지난해 유럽에서 발생한 뎅기열 감염 사례는 130건으로 2년 전과 비교해 80% 넘게 늘어났습니다.<br><br>아시아도 예외는 아닙니다.<br> <br>일본 흰하루살이, 중국 흰개미 등 벌레들의 습격이 이어지고 있고, 우리나라는 대벌레가 대표적입니다. <br><br>특히 수목을 갉아 먹어 산림 피해 면적이 해마다 늘고 있습니다.<br><br>필리핀에선 최근 '군대 벌레'로 불리는 밤나방 애벌레가 떼를 지어 작물을 먹어치우고 있습니다.<br> <br>지난 달엔 축구장 558배 크기의 밭을 습격해 옥수수 등 농작물을 초토화시켰습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이상 고온 현상, 특히 겨울 기온 상승을 핵심 원인으로 꼽습니다. <br> <br>[박선재 / 국립생물자원관 연구관] <br>"겨울에 (월동 개체들이) 어느 정도 폐사해야 개체수가 조절될 텐데 (기온 상승으로) 겨울에 잘 안 죽고 많이 살아남아서 많은 개체수가 봄 여름에 (발생합니다.)" <br> <br>지구 온난화로 인해 필요 이상으로 늘어난 곤충들이 인간의 일상생활은 물론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 보다 이솔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장세례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